512년 |
|
지증왕 13년 신라장군 이사부에 의한 우산국 정벌 (울릉도가 최초로 문헌에 등장) | |
|
|
930년 |
|
고려 태조 13년 조공을 바친 우릉도(芋陵島)주민에게 작위를 하사함 | |
|
1018년 |
|
현종 9년 여진족의 침입을 받고 농업을 폐하게 되어 이원구를 보내어 농기구를 하사함 | |
|
1032년 |
|
덕종 원년 우릉성주가 아들을 보내어 조공함 | |
|
1157년 |
|
의종 11년 우릉도 주민을 이주시킬 계획으로 명주도 감창사 김유립을 보내 조사케 하였으나 실행하지 못함 | |
|
1379년 |
|
우왕 15년 왜구가 무릉도(武陵島) 주민들을 본토로 귀환케 함 | |
|
1417년 |
|
태종 17년 김인우를 안무사로 파견하여 주민들을 귀환시킴 | |
|
1614년 |
|
광해군 6년 대마도주에게 울릉도(鬱陵島)에 왜인들의 왕래를 금지하는 금약을 준수하라는 서계를 보냄 | |
|
1693년 |
|
숙종19년 울릉도에서 안용복 일행과 일본 어부들의 충돌로 조선과 일본사이 외교분쟁 발생(안용복 1차 도일) | |
|
1694년 |
|
숙종 20년 삼척첨사 장한상 울릉도 수토 | |
|
1696년 |
|
숙종 22년 안용복 2차 도일 일본 백기주(伯耆州) 태수와 담판, 울릉도가 조선영토임을 인정 (일본인의 출어.벌채금지서계 조선에 전달) | |
|
1881년 |
|
고종 18년 이규원 검찰사 임명 울릉도를 순찰함 (공도정책 포기) | |
|
1882년 |
|
고종 19년 울릉도 개척령 공포, 주민이주 장려, 전석규 도장에 임명 | |
|
1895년 |
|
고종 32년 삼척영장 겸임 도장제에서 전임도장을 임명하고 도장을 도감으로 개칭 | |
|
1900년 |
|
광무 4년 울릉도를 울도군으로 개칭하면서 강원도에 편입하고 행정구역을 남면과 북면으로 나눔 (도감->군수) | |
|
|
|
1907년 |
|
융희 원년 울도군을 울릉군으로 개칭, 경상남도에 편입. (1914년 경상남도에서 경상북도로 이속) | |
|
1915년 |
|
군(郡)제를 폐지하고 제주도와 더불어 도(島)제로 변경, 울도군청(鬱島郡廳)을 울릉도청(鬱陵島廳)으로, 군수(郡守)를 도사(島司)로 개편.(행정, 치안 총괄) | |
|
1949년 |
|
정부수립 후 울릉군으로 환원. (경상북도 울릉군) | |
|
1979년 |
|
남면이 울릉읍으로 승격, 현재의 1읍2면 체제 구축. | |
|
|
회원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.